경제_정보

상속세 계산, 상속세 공제, 면제 한도액 알아보기

EnrEkr 2021. 2. 8. 11:36
728x90

728x90

 

안녕하세요~ 친절한 뚝딱(EnrEkr)입니다.

오늘은 상속세 계산, 공제, 면제 한도액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상속세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소유했던 재산을 이전하면서 부과되는 세금을 "상속세"라고 합니다.

상속받은 납세의무자가 신고 기간 내에 상속세를 신고하고 납부하여야 합니다.

 

상속세 계산 방법

* 상속과 세과액 = 상속재산 + 증여 재산가액 - 비과세 재산가액 - 과세가액 불산입 재산 - 공과금, 장례비, 채무 등

* 과세표준 = 상속과 세과액 x 상속세율

* 자진 납부세액 = 산출 세액 + 세대 생략 할증 세액 -세액공제

머리 아프네요 ㅎㅎ

복잡한 계산을 간단히 정리하면

상속세 = ( 상속재산 - 상속공제 ) x 세율

 

상속세 면제 한도액

상속세는 상속세 면제 한도액을 제한 나머지를 납부하게 됩니다.

상속세를 절세하기 위한 공제 및 면제 한도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표가 간단하긴 한데 쉽지 않네요 ㅎㅎ

상속세가 중요한 것은 일정 금액을 일괄로 받는 "일괄공제"와 "기초공제 + 인적공제"가 합산된 공제로 나눌 수 있는데 상속세 면제 한도액이 큰 금액을 선택하면 됩니다.

 

* 자녀 기준

- 일괄공제는 5억 원 한도에서 공제

- 기초공제는 2억 원, 인적공제는 자녀 1인당 5천만 원으로 합산 금액은 2억 5천

" 한도 높은 일괄공제 선택 "

* 배우자 기준

- 5억 미만이면 5억

- 5억 이상이면 최대 상속세 공제 한도액은 30억

"30억과 [(상속세 재산 가액 x 배우자 법정상속 지분) - 상속 전 10년 이내 증여재산] 중 적은 금액을 공제받습니다.

이상 상속세, 상속세 계산, 상속세 면제 한도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EnrEkr~

728x90